본문 바로가기

Secret method

결혼 타이밍을 알려면 그가 보내는 신호를 읽어라



결혼 타이밍을 알려면 그가 보내는 신호를 읽어라


우리는 언제 결혼 해?


20대 후반을 넘어가면서부터 미혼남녀들의 연애는 조금씩 신중해집니다. 암묵적이든 노골적이든 결혼을 전제로 한 만남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지만 만혼 풍조가 사회현상으로 부각되고 자발적 독신주의자들이 날로 늘어가는 오늘날에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자는 서른 넘기기 전에 시집을 가야하고 남자도 30대 초반을 넘기지 않은 정도에서 장가를 가는 게 마땅하다는 생각, 아직도 당연한 걸까요. 이런 얘기 어디서라도 꺼내놓을 땐 시대착오적인 구시대적 사고방식이라고 지탄받기 십상이에요. 그만큼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결혼관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누군가는 일찍 결혼해서 안정적인 생활을 찾기를 원하고, 누군가는 싱글의 즐거움을 한껏 누리다가 느긋하게 결혼하기를 원하고, 누군가는 아예 결혼을 염두 하지 않기도 하잖아요.

20대 후반을 넘어가면서부터 미혼남녀들의 연애는 조금씩 신중해집니다. 암묵적이든 노골적이든 결혼을 전제로 한 만남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지만 만혼 풍조가 사회현상으로 부각되고 자발적 독신주의자들이 날로 늘어가는 오늘날에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자는 서른 넘기기 전에 시집을 가야하고 남자도 30대 초반을 넘기지 않은 정도에서 장가를 가는 게 마땅하다는 생각, 아직도 당연한 걸까요. 이런 얘기 어디서라도 꺼내놓을 땐 시대착오적인 구시대적 사고방식이라고 지탄받기 십상이에요. 그만큼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결혼관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누군가는 일찍 결혼해서 안정적인 생활을 찾기를 원하고, 누군가는 싱글의 즐거움을 한껏 누리다가 느긋하게 결혼하기를 원하고, 누군가는 아예 결혼을 염두 하지 않기도 하잖아요.

문제는 이렇습니다. 이제는 결혼을 전제한 만남만을 가지고 싶다고 해서 어디 대자보라도 붙여 공표할 수는 없거니와, 만난 지 얼마 안 된 남자에게 자신의 결혼관을 피력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겁니다.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꼴처럼, 괜히 어색하고 부담스러운 분위기만 조성할 지도 모르거든요.

오래된 커플이라고 해서 다를까요. 결혼의 ‘결’자도 꺼내놓지 않는 남자친구에게 “우리는 언제 결혼 해?” 라며 묻는 것도 어려운 일이긴 마찬가지에요. 여자는 꼭 이래야 한다느니 남자는 꼭 저래야 한다는 법칙이야 없지만, 본인은 생각도 않는데 결혼을 보채는 연인이 있으면 누구나 도망치고 싶어지잖아요. 자연스럽게 결혼에 대한 생각을 나누게 된다면 그야말로 다행한 일입니다. 하지만 당신은 이제 결혼 상대를 만나 정착하고 싶은데 상대방은 그렇지 않을까봐 이야기 꺼내기가 부담스러운 경우가 많지요. 


너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니?

결혼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는 것이 어렵고 겁이 난다면 상대방의 행동을 주시하는 것도 좋습니다. 결혼을 염두하고 있는 상대는 그의 주변인들에게 당신을 소개하는 일을 어려워하지 않습니다. 부모님이 있는 자리에 당신을 초대하는 일을 자연스럽게 진행시킨다거나, 친구들이나 동료들과의 자리에 동석하기를 원하는 것은 그는 당신을 ‘연애용’ 상대만으로 생각하고 있지는 않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사회적인 관계에 당신을 들여놓는 다는 것은, 당신이 그만의 세계 속에 얼마만큼 잘 어우러질 수 있는지를 궁금해 한다는 뜻이기도 하고 그 세계 속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이기도 하니까요.

또한 특별히 데이트의 정석 코스를 밟아가며 하루를 보내는 것 외에도 일상적인 생활을 함께 하고 싶어 합니다. 함께 마트에 가서 장을 보고 요리를 한다거나, 어렵지 않게 집에 초대해 평범한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하는 것이지요. 결혼은 로맨스로 점철된 판타지가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일상의 나열이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결혼에 대한 이야기를 입 밖으로 꺼내놓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는 당신을 두고 결혼을 염두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결혼은 도대체 왜 하는 거냐는 그, 계속 만나야 할까?

하지만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 당신과의 결혼에 대해, 혹은 결혼 자체에 대해 확고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금 냉정하지만 결혼이 조른다고 성사되는 문제는 아니므로 과감히 돌아서는 것 나쁘지 않습니다. 만일 당신이 결혼을 문제로 이별을 통보했을 때 그가 당신을 붙잡는다면 두 사람의 관계에 확실한 터닝 포인트를 마련할 계기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붙잡지 않는다면? 차라리 잘된 일일지도 모릅니다. 긴 시간 함께한 당신을 결혼상대로는 전혀 염두 하지 않는 사람과 결혼을 하게 된대도 당신이 행복하리란 생각은 들지 않으니까요.

배우자감을 찾기 위해서 서로 같은 취향이나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많은 모임, 예를 들어 취미생활 동호회에 참석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취미가 같다면 취향이나 가치관도 비슷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당신의 마음이 결혼으로 혈안이 되어 있다면 상대방이 누구라고 하건 슬금슬금 뒷걸음을 치게 될 테니 조심하세요. 맞선을 본다거나 결혼정보회사에 등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요.

결혼은 타이밍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 중에 제일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결혼할 생각이 들 때쯤에 사귀고 있는 사람과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뜻입니다. 사랑이 이다지도 가볍고 나약한 것이라는 게 믿기지 않기도 하지만 누굴 더 사랑했고 누굴 덜 사랑했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닌가봅니다. ‘호감- 사랑- 싸움(반복)- 화해(반복)- 권태- 실연- 고통’이라는 연애 사이클이 지긋지긋해서 파란만장한 연애질(!)에도 종지부를 찍고 싶을 때, 결혼이라는 보금자리 안에서 따뜻해지고 싶을 때, 그때 곁에 있는 사람과 결혼을 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당신과 결혼관이 일치하는 배우자감을 찾는 일은 결코 쑥스럽거나 주저할 일이 아닙니다